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에게 소개해 드릴 포스팅은 땅콩 재배법입니다.
달콤하고 고소한 땅콩은 어떻게 재배되는 것일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양질의 땅콩을 수확하기 위한 조건 ● 땅콩은 열대 원산의 고온 작물로 여름 작물 중에서는 생육기간이 긴 편입니다. 생육적온이 25~30도씨 정도이며, 적산온도(작물의 생육기간 중 일평균기온을 더한 값)는 조생종(진씨앗) 28도씨, 만생종 36도씨 내외로 우리나라에서는 파종기와 여룸시기의 저온이 땅콩 재배의 주된 장애 요인입니다. ● 땅콩 재배에 적합한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석회질이 풍부하며 부식이 많은 사질양토 또는 양토가 좋습니다. 토양의 산도는 PH 6.8정도가 알맞으며, 강산성 토양은 좋지 않고 이어짓기(연작)에 따른 수량 감소가 큰 편이므로 돌려짓기(윤작)하는것이 좋습니다. ● 땅콩과 함꼐 돌려짓기 작물로는 옥수수, 조, 수수, 참꺠, 고추, 수박 등이 좋으며 담배, 콩과 작물과의 돌려짓기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땅콩의 10a 당 적정 시비량은 질소 - 인산 - 칼리를 성분양으로 3 - 10 - 10kg, 퇴비 1000 ~ 1500kg, 석회 150 ~ 200kg 정도를 전량 밑거름으로 줍니다. 칼리와 석회가 부족하다면 빈 꼬투리와 쭈그러진 씨알이 많이 발생하게 되죠. ● 땅콩은 꼬투리가 땅속에 있으므로 높은 두둑재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둑을 70 ~ 80cm, 골을 30 ~ 40cm 되게 하고, 두둑의 높이는 20cm 이상 높게 만들어야 습해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비닐 피복은 관리기에 비닐 피복기를 부착해 진행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땅콩 재배법 ① 종자용 땅콩은 껍질을 벗긴 후 상처가 없는 꺠끗한 종자만을 골라 종자소독을 하고 싹을 틔워서 심어야 합니다. 땅콩을 싹 틔워 파종하면 불량 종자를 제거할 수 있고 싹트기가 촉진되는 등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
땅콩 재배법 ② 싹틔우기 방법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에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뺸 다음 따듯한 곳에서 2 ~ 3일간 젖은 채로 보관하면 약 5mm 정도의 백색 뿌리가 나옵니다. |
③ 파종시기는 무피복 재배의 경우 남부 지방은 4월 하순 ~ 5월 상순, 중부지방은 5월 상순입니다. 비닐 피복 재배는 10 ~ 15일 정도 더 빨리 파종해야 합니다. |
④ 종자 소요량은 10a에 잔씨앗은 6 ~ 8kg, 굵은 씨앗은 11 ~ 13kg 입니다. |
비닐 피복 방법 및 파종밥법 / 심는 방법 땅콩은 꼬투리가 땅속에 있으므로 높은 두둑 재배를 하는 것이 좋다. 두둑을 70 ~ 80cm, 골을 30 ~ 40cm 되게 하고, 두둑의 높이는 20cm 이상 높게 만들어야 습해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비닐 피복은 관리기부착 비닐피복기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잡초방제의 효과에 자방병의 지중에로의 침입을 순조롭게 하기위해 비닐을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닐 피복이 끝나면 싹이 튼 알은 1개씩, 싹이 트지 않은 알은 2립씩 파종한다. 파종 후 10일 이상이 되어도 싹이 트지 않으면 파보고 썩었으면 보파 하도록 한다. 땅콩을 파종할 떄 파조 깊이는 보통 3~4cm 깊이에 심는 것이 적당 하며 유근이 아래를 향하도록 시믄다. 제초제를 쓸 경우는 반드시 땅콩 파종 후 적용 제초제를 규정량 준수 살포한다. |
땅콩 재배법 관리 약 2주 후 땅콩 싹이 지면으로 나오기 시작한다. 싹이 자라서 길이가 5 ~ 7cm되면 김매기를 하고 웃거름을 준 다음 북주기를 한다. 가지벌기가 시작되면 두 번쨰 웃거름을 준다. 거름을 너무 많이 주면 알맹이가 여물지 않는다. 웃거름을 줄 떄 질소질 비료는 절대 주지 않는다. 특히 오줌액비, 깻뭇액비 등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땅콩도 다른 콩과 식무러럼 뿌리 혹은 박테리아와 함꼐 살아서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다. 뿌리와 꼬투리 부근에 고루 칼슘 액비 살포하면 도움이 된다. 칼슘 공급을 위해 밭 만들기 전에 석회를 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석회를 미리 뿌리지 않았다면 개화기 석회를 주어도 된다. 7월 초 꽆이 피고 수정된 꽃에서 나오는 땅콩이 형성될 수염 뿌리 같은 자방병이 나오면 북주기를 높이 해준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3 ~ 4cm 정도로 흙 돋우기를 한다. 흙 돋우기의 목적은 자방병이 마르지 않고 신속하게 땅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첫번쨰 북주기를 할 떄보다 포기 주변에 넓게 해주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이랑 옆으로 흘러내린 흙이 쌓여 있는 밭고랑을 파 올려서 이랑 폭을 넓이고 이랑 전체를 높이는 것도 좋다. |